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축은행 예금자보호,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by 헬데 2024. 2. 28.
반응형

저축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편리하고 유리한 일이지만, 만약 저축은행이 망하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맡긴 돈은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저축은행 예금자보호란 무엇인가?

저축은행이 망하면 돈은 어떻게 되나?

저축은행은 은행과 달리 지역적 특성이 강하고, 자금 조달이 어렵고, 부실채권이 많은 등의 문제로 파산하거나 영업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저축은행이 고객에게 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되는데요, 이때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제도가 적용됩니다.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지급해준다?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제도란 저축은행이 파산하거나 영업을 중단해 고객이 맡긴 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됐을 때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예금보험공사는 저축은행이 예금보험료를 납부하면서 가입하는 공공기관으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감독하고, 위기에 처한 저축은행을 구제하고, 파산한 저축은행의 예금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의 한도와 대상은?

1인당 최고 5,000만 원까지 보호된다?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의 한도는 1인당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최고 5,000만 원입니다. 즉, 저축은행에 5,000만 원 이하로 예금하면 만약 저축은행이 망하더라도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5,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보호되지 않으므로, 저축은행에 많은 금액을 예치하고 싶다면 여러 개의 저축은행에 나눠서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만 보호된다?

저축은행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은 예금, 적금, 원금이 보전되는 신탁 등 원칙적으로 약정일에 원금 지급이 보장되는 금융상품만을 보호합니다.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 상품은 주식, 채권, 펀드,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신탁, 보증, 대출, 환전 등입니다.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과 되지 않는 상품은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저축은행 예금자보호를 받기 위한 방법은?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확인하자

저축은행 예금자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BIS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저축은행의 자본이 얼마나 충분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8%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8% 이하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두 지표는 저축은행의 홈페이지나 예금보험공사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S 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체크하자

BIS 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체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저축은행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회사소개’나 ‘정보공시’ 등의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럼 저축은행의 재무제표나 건전성지표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BIS 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찾아보면 됩니다. 만약 저축은행의 홈페이지에서 찾기 어렵다면, 예금보험공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예금보험제도’나 ‘예금보험정보’ 등의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럼 저축은행의 건전성지표를 검색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저축은행의 이름을 입력하고, BIS 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을 확인하면 됩니다.

예금보험금 신청 절차를 알아보자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확인했는데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이 망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 경우에는 예금보험금 신청 절차를 알아봐야 합니다. 예금보험금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금지급시스템에 접속하자

예금보험공사는 저축은행이 파산하거나 영업을 중단하면 공식적으로 예금보험금 지급을 공고합니다. 이 공고는 예금보험공사의 홈페이지나 저축은행의 홈페이지, 매체 등을 통해 알려집니다. 이 공고를 확인하고, 예금보험공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럼 예금지급시스템이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예금보험금 지급신청을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보험금 지급신청을 하자

예금지급시스템에 접속하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본인 확인 방법은 휴대폰 인증, 공인인증서, 주민등록증 등이 있습니다. 본인 확인이 완료되면 예금보험금 지급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예금보험금 지급신청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저축은행의 이름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상품의 종류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상품의 계좌번호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상품의 예금주명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상품의 잔액
  • 예금보험금 지급받을 은행의 이름
  • 예금보험금 지급받을 은행의 계좌번호
  • 예금보험금 지급받을 은행의 예금주명

이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고, 신청을 완료하면 됩니다.

보험금 입금을 확인하자

예금보험금 지급신청을 하면 통상 영업일 이내에 보험금 입금이 완료됩니다. 예금보험금 지급현황은 예금지급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금보험금 지급현황을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 예금지급시스템에 접속하고,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다.
  • 예금보험금 지급현황 조회 메뉴를 클릭한다.
  •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저축은행의 이름과 예금보험금 지급대상 상품의 계좌번호를 입력한다.
  • 예금보험금 지급현황을 확인한다.

이렇게 하면 예금보험금 지급일, 지급금액, 지급은행, 지급계좌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예금보험금 지급이 지연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예금보험공사의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축은행 예금자보호는 우리의 돈을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저축은행에 돈을 맡기기 전에는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을 선택하고, 예금자보호의 한도를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저축은행이 망하게 되면 예금보험공사의 예금지급시스템을 이용하여 예금보험금을 신청하고, 입금을 확인하면 됩니다. 저축은행 예금자보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예금보험공사의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참고해주세요.

 

반응형